공업탑 로터리

트램 1호선 건설을 앞두고 공업탑 로터리를 평면 5지교차로 변경에 대한 최종 대안을 포함한, 전체 운행구간에 대한 교통체계 최적 대안이 제시된다.

울산시는 1월 21일 오후 3시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도시철도 1호선 건설 대비 사전 교통체계 효율화방안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울산시 정책자문위원회 도시교통건설분과 위원과 경찰청, 도시철도 1호선 교통 분야 실무 전담팀(T/F)) 위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사의 최종보고 발표에 이어 트램 1호선 운행 구간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최종보고에 따르면, 공업탑 로터리의 경우 지난해 10월 중간보고에서 제시되었던 개선안에서 두왕로 동문 입구~박물관 구간 차로 확보, 우회전 개선, 수암로 이중 정지 개선이 추가됐다.

오는 2029년 트램 개통 시 교통량의 퇴근 시간대(오후 6~오후 7시) 기준 지체도는 로터리 유지 시 232.2초/대에서 평면 5지교차로로 전환되면 169.9초/대로 62.4초/대 감소한다. 또 서비스 수준*도 ‘더블에프(FF)’에서 ‘에프(F)’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비스 수준 : 교통류의 질적 수준, 차량 당 제어지체를 평가기준으로 (양호)“에이(A)”~“트리플 에프(FFF)”(혼잡)까지 분류됨

가로구간의 경우 보도 축소를 최소화하고, 차도를 기본 1~2차로를 축소하는 계획으로 삼산로의 경우 8~9에서 6~7차로, 문수로/대학로는 7차로를 5~6차로로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기본적 차로 운영계획은 트램 선형 조정을 통해 좌회전 및 유턴차로를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좌회전의 경우 도로용량 감소 등의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최대한 존치하는 방안으로 현재 46개소에서 4개소가 폐지, 유턴의 경우 정거장 위치, 사고위험 등을 감안해 현재 48개소 중 13개소가 감소된다.

공사 시행은 1단계 공업탑 체계 변경과 도로 측면공사 시행, 2단계 도로 중앙 공사(지장물 이설), 3단계 선로 노반 공사, 4단계 교차로 및 정거장 공사 순으로 진행한다.

이밖에 트램 공사에 따른 시민들의 이용 불편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대체 경로 안내, 트램 개통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등 홍보방안도 제시됐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트램 운영 대비 효율적인 교통체계안을 사전에 점검하는 과정으로 향후 설계과정에서 경찰청 등 전문가와 심도 있는 검토는 물론 시민들과도 소통하면서 결정해 갈 계획이다”라며, “시민들의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이해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