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정치
행정
전국
경제
과학
사회
사건사고
교육
체육
문화
문화
연예
오피니언
칼럼
팔각등
기고
영상뉴스
영상
포토
추천영상
SNS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정치
행정
전국
경제
과학
사회
사건사고
교육
체육
문화
문화
연예
오피니언
칼럼
팔각등
기고
영상뉴스
영상
포토
추천영상
SNS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전체 기사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오피니언
영상뉴스
커뮤니티
회사 소개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경제
과학
과학
다음
이전
과학
‘챗GPT와 함께하는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특별강연 개최
UNIST(총장 이용훈) 지관서가에서 20일(월) 오후 2시부터 4시까지‘인간과 기계의 공존: 챗GPT와 함께하는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라는 주제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특별강연이 열린다.이번 강연을 위해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를 초청했다. 김대식 교수는 최근 발매된 저서『챗GPT에게 묻는
박태환
2023.03.16 10:10
과학
실시간 분석법을 통한 실리콘-흑연 복합재의 반응원리 이해
배터리 전극 깊이에 따른 불균일성은 흔히 급속충전이 불가능한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전해액 내 리튬 이온의 이동 제한으로 흑연 전극의 상단부에 리튬 농도가 집중되면 음극재 표면에 리튬 수지상 형성을 일으킨다. 이는 대용량의 전지를 만들거나 고속 충·방전 시 심화되며 배터리의 수명과 안정성을 크게 저하한다.UNIST(총장
박태환
2023.03.14 08:51
과학
UNIST, 2023학년도 입학식 개최
UNIST(총장 이용훈)는 17일(금) 오후 2시 실내체육관에서 2023학년도 입학식을 개최했다. 이날 입학식에서는 총 443명의 과학기술인재가 새 출발을 알렸다.2023학년도 신입생은 이공계열 413명, 경영계열 30명이다. UNIST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14.44대 1, 정시모집에서는 54.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박태환
2023.02.17 18:45
과학
동남권 지역 특성에 맞는 미세먼지 연구·관리 나선다!
UNIST(총장 이용훈)에서 9일(목)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동남권 미세먼지 연구관리센터(센터장 송창근) 개소식이 열렸다. 서정욱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과 이용훈 UNIST 총장,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 홍동곤 낙동강유역환경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 날 행사는 센터 소개, 현판 제막,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박태환
2023.02.10 00:48
과학
울산시, ‘디지털 복제 온라인 체제 기반 구축사업’ 추진
탄소중립 정책지원을 위한 디지털 복제 온라인 체제 기반이 갖춰진다. 울산시는 2월 1일 오후 2시 본관 4층 국제회의실에서 ‘탄소중립 정책지원 ‘디지털 트윈(복제)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축사업’ 착수 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사업추진 경과 및 계획 소개, 의견수렴 등으로 진행된다. 이 사업은 울산시
박태환
2023.02.01 10:43
과학
울산시보건환경연구원 유봉관 연구사, 케이시아이(KCI) 등재학술지에 논문 게재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유봉관 연구사의 ‘선택적다중이온질량분석기(SIFT-MS)*를 이용한 울산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분포 특성’ 논문이 지난 12월 발행된 케이시아이(KCI) 등재학술지인 대한환경공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44권
박태환
2023.01.10 09:46
과학
㈜후성-UNIST 공동 연구 플랫폼 개소식 개최!
UNIST(총장 이용훈)는 지난 15일(목) 오전 11시 제4공학관(110동)에서 ‘후성-UNIST 공동 연구 플랫폼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번 개소식의 목적은 반도체 가스 분야의 울산지역 대표기업인 ㈜후성과 UNIST 간에 Low GWP 식각기술 개발을 위한 개방형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함이다.이 날 개소식에는
박태환
2022.12.20 09:01
과학
'환자 맞춤형 항암제 효능' AI로 미리 알 수 있다!
똑같은 암을 앓는 환자라도 항암제 효능은 달라질 수 있다. 개인별 유전변이 등에 따라 항암제의 반응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런 환자별 결과를 미리 알려주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이세민 교수팀은 고려대 정원기 교수팀, 한양대 서지원 교수팀과 공동으
박태환
2022.12.19 12:10
과학
마경열 박사,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 수상
“최고의 연구 환경을 제공한 UNIST에 감사드립니다. 더 도전적인 연구로 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차세대 연구자가 되도록 정진하겠습니다.”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의 마경열 박사가 9일(금)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제12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에서 화학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마 박사의 논문은
박태환
2022.12.11 20:27
과학
한국인 맞춤형 '당뇨 위험 예측 모델' 나왔다
한국인에 특화된 ‘제2형 당뇨’ 발병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모델이 개발됐다.UNIST(총장 이용훈) 산업공학과 이정혜 교수팀과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훈 교수팀은 대규모 한국인 코호트를 바탕으로 제2형 당뇨 발병 예측 성능을 높인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이들은 한국인에 특화된 다유전자 위험 점수(Genome
박태환
2022.12.05 08:54
과학
‘울산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의 날’ 개최
울산시가 지역 주력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미래신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협력을 강화한다. 울산시는 11월 29일 오후 2시 호텔현대 바이 라한 울산에서 ‘2022년 울산광역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의 날(Tech Day)’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노동완
박태환
2022.11.29 08:18
과학
“울산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다”
울산시는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울산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다’라는 주제로 ‘2022 울산미래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울산시와 울산문화방송이 공동개최하는 이번 박람회는 △미래 생활 △미래 교육 △미래 스포츠 △미래 문화 등 4개 분야로 나누어 인공지능(AI), 가상·증강현실(VR
박태환
2022.11.25 08:30
과학
UNIST-울산시, ‘울산 글로벌 제조혁신 포럼 2022’ 개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제조혁신의 방향을 모색하는 포럼이 울산에서 열린다.UNIST(총장 이용훈)와 울산광역시(시장 김두겸)는 25일(금)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울산 글로벌 제조혁신 포럼 2022’를 개최한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울산의 제조혁신과 3D프린팅’이다. 울산시는 국내 제조
박태환
2022.11.24 10:42
과학
"산업현장의 문제 풀어라!"… '과학기술계 BTS' 축제 열다
UNIST(총장 이용훈)와 울산대학교(총장 오연천)의 인재들이 지역의 산업 혁신에 뛰어든 성과를 공개했다.18일(금) UNIST 대학본부에서 ‘2022 U-챌린지 페스티벌’이 열렸다. ‘BTS(Brain to Society) 실전문제연구팀’과 ‘연구동아리’의 성과를 소개하는 이번 행사는 첫 해였던 작년보다 규모가 커졌고
박태환
2022.11.19 01:21
과학
'암세포에서만 구조 변한다' 표적 치료 약물 개발!
암세포만 제거하는 표적 치료에 쓰일 새 약물이 나왔다. 이 약물은 암세포 내 리소좀을 표적으로 삼아 파괴하면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산성도(pH)에 의해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해 암을 고치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 약물은 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의 산성도(
박태환
2022.11.17 11:10
과학
“전기차 폐배터리, 태양광 ESS로 쓰자”… 경제성 검증 나와
전기차 배터리는 건강 상태가 80% 정도 되면 폐기한다. 아직 사용할 수 있어도 고출력용 자동차에는 적당하지 않아서다. 이런 폐배터리를 가져다 태양광 발전 설비에 적용하는 게 경제성이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UNIST(총장 이용훈) 탄소중립대학원 및 에너지화학공학과 임한권 교수팀은 ‘폐배터리 재사용에 관한 경제성’을 분석
박태환
2022.11.14 09:49
과학
"현실 같이 생생하다!"…초고해상도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눈으로 보는 것만큼 생생한 장면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나왔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를 이용해 고효율‧고화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한 것이다. 아주 얇고 유연해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등에서 유용할 전망이다.UNIST(총장 이용훈) 신소재공학과의 최문기 교수팀과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의
박태환
2022.11.01 08:28
과학
그래핀 10만 층 쌓아 만든 가장 완벽한 흑연 나왔다!
그래핀을 10만 겹 이상 쌓아 만든 가장 완벽한 흑연이 나왔다.UNIST(총장 이용훈) 신소재공학과 펑 딩(Feng Ding) 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 그룹리더)는 중국 북경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완벽한 단결정 흑연을 합성했다. 일반 흑연보다 열이나 전기의 전도성이 뛰어난 데다 얇고 유연해, 붙이거나 접을 수 있
박태환
2022.10.30 10:30
1
|
2
|
3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