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의 첫 발자취를 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울산교육청은 4일 울산과학관 빅뱅홀에서 ‘2024년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 운영 사례 나눔 공유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는 교육청과 지자체 관계자, 유치원·어린이집 교원, 학부모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울산형 유보통합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공유했다.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는 영유아 교육과 보육 체계 일원화를 목표로, 교육부의 유보통합 정책을 울산 지역에 맞게 적용한 모형이다. 이를 통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영유아에게 더 나은 교육·보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번 공유회에서는 ‘2024년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 운영 경과, (가칭)영유아학교 시범 기관 운영 사례, 온새미로 공동체* 운영 사례, 두빛나래-아이행복이음단 운영 사례, 2025년 운영 계획’ 등을 발표했다.

*온새미로 공동체: 가르거나 쪼개지 않는다는 뜻의 울산 지역 유보통합 추진 관계망(네트워크)

울산교육청은 2025년도 유보통합 사업의 핵심과제로 ‘영유아학교 시범 기관 운영, 교원의 전문성 강화, 영유아 성장 지원, 지역사회 연계 협력 강화, 법․제도적 기반 강화, 지속 가능한 유보통합 정책 수립’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시범 기관 내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확대 지원하며, 어린이집과 초등학교를 연계하는 ‘어-초 이음교육’ 프로그램을 어린이집 10곳에서 운영한다.

이 외에도 영유아의 안정적인 돌봄 환경을 제공하고자 ‘거점형 돌봄기관’ 6곳을 신규 운영할 예정이다.

공유회에 참석한 한 학부모는 “시범사업을 통해 교사 1인당 담당하는 영유아 수가 줄어들면서 개별적인 관심과 애정이 더욱 커졌다”라며 “앞으로도 교육의 동반자로서 더욱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현장 교사와 관계자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협력해 교육과 보육을 통합적으로 운영한 사례를 공유하며, 안정적인 유보통합 정착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울산교육청 관계자는 “영유아가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과 보육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