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9월 4일 오후 2시 시청 본관 4층 국제회의실에서 ‘방사능재난 기관 상호 간 정보공유 지원체계(시스템) 구축’ 최종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방사능재난이 발생했을 때 지역방사능방재대책본부와 유관기관, 현장이 재난 상황과 조치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시스템)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협력 체계를 구축, 보다 효과적인 주민 보호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보고회는 해당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는 박순철 울산시 시민안전실장과 구군, 군·경·소방, 대한적십자사 등 관계기관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해 체계(시스템)의 실효성, 보완이 필요한 기능, 현장 적용 시 개선점 등에 대한 의견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올해 말까지 기능 보완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는 기관별 교육·훈련을 통해 실질적 대응 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체계(시스템)는 재난 시 기관 간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에 의미가 크다”라며 “내년부터 교육과 훈련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완성도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방사능재난 기관 상호 간 정보공유 지원체계(시스템) 구축 사업’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8개월간 진행됐다.
사업 주요 내용은 ▲방사능재난 시 기관 간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공유를 위한 웹페이지 개발 ▲현장대응요원 대상 실시간 상황 파악 및 공유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개발 등이다.